화자란, 시 속에서 이야기 하는 사람
시인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정한 대리인
시속에서 말하는 사람이 화자
화자는 시인 자신일 수도 있지만, 시인이 아닌 경우가 많음,
사물, 동물, 식물이 화자가 되기도 함
시에서 시적 화자는 시적 상황을 묘사하며, 시적 상황이나 대상에 대한 정보는 전달,
시인의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준다.
시적 대상
시속에서 시적 화자의 말을 들어주는 청자, 시적 화자가 바로보고 있는 인물, 자연물, 현상, 상황 등
시적상황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 분위기, 정황
내적상황 : 시적 화자가 시에서 겪는 구체적 상황
외적상황 : 시에 반영된 시대적, 사회적 상황
정서
시적 화자가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시적 대상에 대해 느끼는 감정, 기분
좋은정서(긍정적 정서) : 기쁨, 즐거움, 사랑
나쁜정서(부정적 정서) : 슬픔, 괴로움,절망, 안타까움
어조( 말투)
시적 화자가 바라보고 있는 대상이나 독자에게 취하는 말투
어조는 시의 분위기를 알수 있으며,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알수 있게 한다
또한 시적 화자가 강조하는 시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청자가 혼자 이야기 하면 독백체 대화를 하면 대화체
시적 화자에 따라 어린아이, 여성어조, 남성어조, 어른 말투
시적 화자의 정서에 따라서는 영탄, 그리움, 분노, 희망적 어조
청자에 대한 화자 태도에 따라 명령, 청유, 의문, 예찬적 어조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에 따라 냉소적, 친화적, 비판적, 풍자적, 해학적 어조가 있다.
그럼 어조를 어떻게 파악해야 할까?
여성적 어조 : 부드럽고 유연한 느낌 (~입니다. ~이에요)
남성적 어조: 강한 느낌 (-가라, -하리라)
어린 아이 어조 : 순수함
경어체: 성찰, 예찬, 기원
의고체: 진지함, 우아한 느낌
사투리: 현실감, 향토감, 친근감
비속어 : 비판, 풍자
의고체 : 예스러운 문체
명령형 : 의지, 단호
청유형: 권유
어조는 종결 어미를 통해 잘 나타나요
'국어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문학작품 감상방법 (0) | 2021.09.03 |
---|